[출근길 인터뷰] 잠 못 드는 '수면장애' 환자 100만 명 넘었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시청자 여러분, 간밤에 잘~ 주무셨나요?<br /><br />잠이 보약이라는데, 잠 못 드는 수면장애 환자가 100만 명이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수면장애 환자가 느는 이유는 왜인지, '꿀잠' 잘 수 있는 비법은 뭔지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뉴스캐스터 연결합니다.<br /><br />박서휘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월요일 출근길 인터뷰에서는 선우준상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를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?<br /><br />[선우준상 /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수면장애가 정확히 뭐고 지금 현재 환자가 얼마나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[선우준상 /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]<br /><br />수면장애는 정상 수면을 방해하고 그로 인해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모든 질환을 얘기하고요.<br /><br />성인에서 가장 흔한 수면질환은 불면장애 그리고 폐쇄수면무호흡을 들 수 있고 그 외에도 하지불안증후군, 렘수면, 행동장애와 같은 사건수면 그리고 기면병과 같은 병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가장 흔한 불면증 불면장애 같은 경우는 성인에서 15에서 20% 정도 아주 흔한 질환이고요.<br /><br />폐쇄수면무호흡 같은 경우도 중증도 이상의 치료를 필요한 경우는 5에서 10%로 아주 많은 질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이제 노령에서 수면 장애가 많은데요.<br /><br />인구가 이제 고령화되면서 점차 수면장애가 증가하고 있고 수면 건강에 대한 그런 인식도 증가하면서 수면장애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깨지 않고 오래 잔다면 수면장애가 없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[선우준상 /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]<br /><br />정상 성인에서 가장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수면시간은 7시간에서 9시간으로 잡고 있고요. 수면 시간도 중요하지만 깨지 않고 자는 것도 중요하거든요.<br /><br />왜냐하면 수면 질환이 있게 되면 깊은 수면이 감소하게 되고 수면 중 각성이 증가하면서 수면의 분절이 일어나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로 인해서 낮에 피로. 자고 나도 개운하지 않고 이제 주간 졸림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유독 60대 수면장애 환자가 많은 걸로 조사가 됐거든요. 그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선우준상 /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]<br /><br />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가장 흔한 질환인 불면장애 그리고 폐쇄수면무호흡 같은 질환들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증가하는 병이기 때문에 노인에서 취약할 수밖에 없고요.<br /><br />또 나이가 들면서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그런 수면에 변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노인에서는 전체적인 수면시간이 감소하고 깊은 수면도 감소하고 얕은 수면이 오히려 증가하고 자꾸 깨는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.<br /><br />또한 나이 들면 수면장애 외에도 다른 동반 질환이 많아지거든요.<br /><br />내과적 질환 그 외에도 근골격계 질환 통증 등이 있으면 수면에 방해가 일어날 수 있고 다른 영향도 고려해야 되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수면장애인들의 자가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?<br /><br />[선우준상 /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]<br /><br />수면장애의 대표적인 질환 수면장애가 있으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들이 몇 가지 있거든요.<br /><br />불면증과 관련된 증상으로는 잠들기가 어렵다. 자고 나도 이제 자꾸 깬다.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요.<br /><br />또 주간 과다 졸림이라고 해서 낮에 너무 졸린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충분한 시간을 잤는데도 낮에 졸립고 피곤하고 그로 인해서 일상생활 그리고 업무나 학업에 방해를 받는 경우.<br /><br />또 마지막으로 수면 중에 이상행동 나타나는 경우가 있거든요.<br /><br />잠꼬대를 넘어서 꿈을 꾸는 듯 한 이상행동을 보이는 경우 아니면 침대 밖으로 걸어 나오는 몽유병 같은 증상이 있으면 수면 질환에 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말씀하신 증상들이 나타났을 수면제를 복용하면 좀 좋아질까요?<br /><br />[선우준상 /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]<br /><br />수면제는 불면 장애 치료에서 마지막 최후의 보루가 되겠고요.<br /><br />일단은 불면 장애가 있을 때는 그거에 대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<br /><br />특히 잘못된 수면 위생을 갖고 있는 분들은 그것을 먼저 교정하고요.<br /><br />부적응 행동이라고 해서 수면을 보상하기 위한 잘못된 행동들이 있거든요.<br /><br />그런 것들에 대한 교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되고 다른 2차적인 수면 질환을 감별해 주고.<br /><br />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면 장애가 계속될 때 마지막으로서 수면제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마지막으로 질 좋은 잠을 자기 위해서 어떤 생활습관이 중요할까요?<br /><br />[선우준상 /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]<br /><br />딱 세 가지 말씀드리면요.<br /><br />첫 번째로는 밤 9시 이후에는 실내를 어둡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<br /><br />두 번째는 잠들기 전에 TV나 스마트폰을 시청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요.<br /><br />마지막 세 번째로는 낮시간에 운동을 하는 것은 좋은 수면을 위한 그런 것으로 제가 추천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좋은 말씀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